연구소 칼럼 (보도자료)

환경부, 미등록 지하수시설 자진신고 기간 운영

2022-07-04

SNS 기사보내기

31개 시군 대상, 7월 1일부터 1년간

환경부는 법무부와 함께 ‘지하수법’에 따라 신고 또는 허가를 받지 않은 지하수시설(이하 미등록 지하수시설)에 대해 경기도 남양주시 등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올해 7월초부터 내년 6월말까지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미등록된 지하수시설 중에 방치된 지하수관정은 오염물질을 땅속으로 퍼뜨려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인허가를 받지 않고 무분별하게 지하수를 사용할 경우 지하수를 고갈시킬 수 있다. 지하수시설에 대한 현황 파악 및 등록전환은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환경부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미등록 지하수시설 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사업과 함께 해당 지역에 자진신고기간을 운영하여 주민들의 미등록 지하수시설에 대한 등록전환을 이끌고 있다. 

2020~2021년 기준 61개 시군구에서 약 25만 5,000공을 조사했으며, 올해는 31개 시군구에 대해 약 15만공을 조사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자진신고 기간 동안 ‘미등록 지하수시설’을 등록할 경우 비용부담 및 구비서류를 최소화해 신고자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한다.

먼저, ‘지하수법’ 상 관련 조항 위반에 따른 벌칙(또는 과태료) 처분을 면제했으며, 등록 시 이행보증금을 전액 면제하고 수질검사서 제출도 생략했다. 또한, 지적도·임야도, 시설설치도 및 준공신고서는 면제하고, 원상복구계획서는 유형별 표준양식을 제출하도록 했다.

아울러, 환경부의 올해 미등록 지하수시설 조사사업 기간 중에는 조사원들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미등록 지하수시설을 확인하고 신고서류 작성 등에 어려움을 겪은 주민을 대신해 등록 업무를 대행하는 등 미등록 지하수시설 해소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자진신고 기간 종료 후에는 현장점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불법시설을 찾아내고 ‘지하수법’ 위반사항이 적발될 경우 엄정하게 조치할 방침이다. 

차미경 기자 cha@greendaily.co.kr



국가공인 먹는물 검사기관 금강 제18호

대표.  정 우 진 사업.  484-81-02414

전화. 041) 574-1200 팩스. 041) 574-1201

이메일. guemgang1200@naver.com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대로 273, 진사빌딩 3층

국가공인 먹는물 검사기관 금강 제18호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대로 273, 진사빌딩 3층

대표  정 우 진  사업자  484-81-02414  전화  041) 574-1200  팩스 041) 574-1201  이메일 guemgang1200@naver.com